자신의 체질이 어떤 체질인지 한번쯤 고민해 보셨나요?
사람마다 천부적으로 체질을 갖고 태어나고 체질에 맞춰 약재나 음식을 복용해야 좋다고 하는 사상의학~!!! 현재 한의학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사상체질은 태양인, 태음인, 소양인, 소음인으로 나뉩니다. 모르셨던 분들은 지금부터 자신은 어떤 체질인지 확인해 보시고..자신의 체질에 맞는 음식도 알려 드릴테니..참고해 보세요^^
사상체질 구별법
- 확진은 한의원을 찾아가보는게 맞겠지만, 대체적인 체형의 특성만 봐도 어떤 체질인지 알수 있다고 합니다. 자신은 어떤 체질인지 확인해 보세요.
- 태양인 : 머리가 크고 둥글며 눈이 작다.
대체로 몸은 마르고 깔끔한 인상에 눈에 광채가 있다.
폐기능이 강하고 간기능이 약해 음식을 소화하고 흡수하는 기능이 떨어진다.
손발이 촉촉한 느낌이고 피부가 매끄럽고 탄탄하다.
상체에 비해 하체가 다소 약하다.
- 태음인 : 혈액의 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며 섭취향에 비해 배설의 기능이 약하다.
음식을 조금만 많이 먹어도 살이찐다.
타원형의 얼굴형과 눈코입귀가 크고 입술이 두툼하다.
체격이 크고 근육과 골격이 잘 발달되어 키가 크다.
손발이 크고 허리가 굵은편으로 상체보다 하체가 큰편이다.
열이많고, 술에 강한 체질로 술을 마셔도 얼굴이 빨개지지 않는다.
- 소양인 : 머리가 튀어나오고 둥글며 표정이 밝다.
하체가 약하고 다리가 가늘다.
말이 많아 수다스럽고 말하면 쉽게 흥분한다.
음식을 빨리 먹지만 살은 찌지 않는다.
턱은 뾰족하고 입술이 얇고 눈매가 날카롭다.
- 소음인 : 생김새가 오밀조밀하고 눈코입은 크지 않으며 눈에 정기가 없다.
키와 몸이 작지만 몸매가 균형 잡혀 잇다.
소화기능이 약해 임신했을때 입덧을 심하게 한다.
뼈가 발달해 골다공증이 잘 오지 않고 피부질환이 없다.
얌전하고 온화한 인상이다.
하체가 발달하고 살과 근육이 적거나 골격이 굷다.
사상체질에 맞는 음식 궁합
- 태양인 : 태양인은 사람들 중 가장 수가 적어 구별하기 어려운 체질입니다. 태양인은 보통 양성체질로 상체에 비해 하체가 약하고 열이 많기 때문에 시원한 음식이 좋습니다. 또 간이 약해 간장질환, 소화불량이 많을 수 있으니 기름진 음식은 피하고 다시마, 조개류, 미역과 같은 해산물이나 배추, 상추같은 푸른채소를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태음인 : 일반 사람들 중 가장 많은 체질은 태음인 입니다. 선천적으로 폐와 심장이 약하며 고혈압이나 기관지염, 천식등에 걸리기 쉽습니다. 태음인들은 주로 따뜻한 음식이나 육류를 좋아하는 편이라 살이 금빵 쪄 비만이 될 확률이 높습니다.
태음인에게는 오미자차, 도라지, 녹용이 비만에 좋고, 율무차는 이뇨작용에 좋지만 변비가 심할 경우에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식성이 좋아 불규칙한 식생활과 폭식으로 병이 발생하기도 하니 식사 조절이 필요합니다.
- 소양인 : 태음인 다음으로 많은 체질이 소양인 입니다. 신장기능과 허리쪽이 빈약해 간장질환이나 자궁 혹은 방광에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소양인들은 음식을 가리지 않고 먹으며 소화가 빠른편입니다. 더운 음식보다는 차가운 음식을 좋아해 수박, 딸기, 파인애플 등의 과일류를 먹는 것이 좋으며 모과차나 버섯, 계란, 콩 등의 단백질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 허리 관절, 신장에 도움이 됩니다.
- 소음인 : 전체적으로 마른 체격과 약한 체형을 가지고 있습니다. 소음인은 위장이 약해 위염이나 설사, 소화불량, 멀미등이 쉽게 옵니다. 찬음식 보다는 따뜻한 음식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개고기의 육류, 옥수수, 감자, 인삼, 미나리, 명태, 멸치, 조기, 마늘등의 음식이 좋습니다.
이상, 사상체질 구별법과 음식궁합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자신에게 맞지 않는 음식이라면 피하는 것도 나쁘진 않겠죠? 좋은 음식은 우리에게 가장 좋은 약입니다. 체질과 맞는 식습관으로 건강을 지켜 보세요.^^
'바다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리 빨리 기르는방법. (0) | 2014.10.31 |
---|---|
경차 혜택 총정리 / 경차사랑카드 알아보기 (0) | 2014.10.31 |
소변색으로 보는 건강 (0) | 2014.10.29 |
오십견 증상과 예방법 (0) | 2014.10.29 |
행주 냄새 안나게 삶는 방법. (0) | 2014.10.29 |